Jinho Lim, Curator at out_sight and OS

Grey areas of vision 

Junghun Kim, in his solo exhibition Fragmented measure, vitality of the spirit, examines the limen of the human mind that discerns the world by projecting itself onto others. Kim focuses on the dimension of (im)possibilities that have remained invisible to our anthropomorphic vision, the measure of the world based on human experience.

While observing a colony of red spider mite inhabiting in a dead tree trunk, the artist detected an interestingly humane pattern in the ecology of the microscopic organism: from the colony’s tendency to march higher against gravity, Kim beheld the universal human drive to endlessly climb towards the highest point in society, pursuing the vertex of power. In his video 0.01 100, The Vertex of the Vanishing Point, he overlaps the human narrative as such onto the camera’s gaze that is approximating to the viewpoint of the mites, by employing dramatic eects such as a high rising pole with a single bright light illuminating the dark sky on its top, or solemnly echoing bell from a distant background.

The frame of the camera tightly zoomed in to capture the colony’s ecosystem reveals furrows and crevices of the tree’s surface, the texture of the moss, and the viscosity of the air in an unfamiliar scale. Looking into the visual dimension that is invisible in our everyday life, we realise that this microcosmos also consists of canyons and summits, shades and lights, cycles of life and flow of time, individuals and collectives, movement and desire. By projecting the very humane tendency onto this tiny other’s nature, while also presuming the colony as the subject of their own point of view, Kim opens up a possibility of the liminal being that is simultaneously subject and object, the Self and the Other.

Likewise, a dozen of paintings hanging on the gallery are also examining possibilities of contradiction: signs that cannot be weaved into meanings, or noises full of potential significance. The frames in which forms are hidden are like a jungle that exists before the structure of dierentiation and categorisation. In a frame; waves, flames, fumes, sprigs of plants or neural networks, mucus, creases on intestines or beehives, sunrise, sunset, auricles, hair, face, eyes, and eggs are jumbled with circles, triangles, symmetrical structures, repetitive curves, yins and yangs, pyramids and spheres without structural distinction. Organic figures next to geometric elements, celestial bodies juxtaposed with biological bodies, and representations of the phenomenal among abstract patterns are nonlinearly spread on the canvas plane without structural order nor narrative hierarchy.

No significant form emerges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where every single corner is closely packed with (non)signs. As the artist has proficiently arranged things with names among things of no names, things alive among things static; no single corner gravitates others as a pivot, and no single corner submerges as a non-sign. The surface where everything is equally possible as a sign does not embody structural dierentiation distinctive for perception, like a field of total noise where no pattern can be discerned. (The whole without exterior is identical to the whole without interior.) This grey area of signs and non-signs refuses to be mediated by our consciousness that manifests the world by projecting the a-priori structure of signification.

In the middle of the gallery is a room carpeted with moss (Eco Dynamics). The noise present in the painting is three-dimensionally represented on the moss field with things made of animal bone, fired mineral, taxidermied bird, glass, steel, resin, and so on. Again, the border between forms and non-forms are ambiguous. Man-made forms such as arrowheads and natural forms like beehives are adriftly blended to pile up totems. The viewer’s gaze moves to an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the micro and macro. Human scale that mediates the world is not valid here. The anthropomorphic vision that penetrates others as an absolute criterion does not hold the authority as a transparent medium. With the fragmented viewpoints present in the video, the paintings, and the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 Kim proposes a potential of vision beyond the human-centric frame that we are accustomed to.

시각의 회색지대

임진호, 공간 OS, Out_site 큐레이터

김정헌의 전시 또한 세상에 스스로를 투사하고 통찰하는 우리 정신의 임계와 가능성을 탐색한다. 작가는 인간의 경험을 투사하여 자연을 매개하는 인간 중심적 시각의 외연에서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던 (비)가능성의 차원을 포착한다. 죽은 나무 기둥에 서식하는 붉은 거미 진드기의 생태를 관찰하던 작가는 진드기들의 행동에서 지극히 인간적인 패턴을 발견한다. 그리고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장 높은 곳을 향해 기어오르는 저 무리의 추동을 권력의 정점을 향해 끝없이 기어오르는 인간의 욕망으로 의인화한다. 영상 .× 소실점의 끝에서는 까만 하늘에 솟은 솟대, 그 꼭대기에 걸려 있는 강한 빛, 엄숙하게 울리는 종소리 등의 영화적 장치들을 프레임에 끼워 넣음으로써, 진드기들의 시점에 근접해 가는 카메라의 시선 위로 우리 스스로의 서사를 극적으로 중첩한다.

이 작은 세계를 포착하기 위해 바짝 끌어당긴 카메라의 프레임은 나무 기둥의 주름과 구멍들, 이끼의 질감과 공기의 점도까지 생경한 스케일로 확대해 보여 준다. 일상에서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 이 시각의 장을 들여다보면, 이 미시적 세계 또한 골짜기와 꼭대기, 음지와 양지, 생명의 주기와 시간의 흐름, 개체와 무리, 움직임 그리고 욕망으로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음을 발견한다. 흥미롭게도 김정헌은 꼭대기를 향한 이 작은 타자들의 시선에 지극히 인간적인 드라이브를 투사하는 동시에, 그들을 저들만의 소실점을 향하는 시선의 기준으로 상정함으로써, 주체인 동시에 객체고, 동일하지만 곧 타자인 새로운 경계적 존재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그러고 보면 전시장에 걸린 십수 점의 그림 위에서도 기호이지만 의미로 엮이지 못하고, 소음이지만 의미를 잠재하는 모순적 가능성들이 실험되고 있는 듯하다. 형태들이 숨은 프레임은 인지를 위해 차이를 분할하는 구조 이전에 존재하는 정글과도 같다. 프레임 안에는 물결 불꽃 연기 신경망과 식물의 뿌리, 흘러내리는 점액질, 내장과 벌집의 주름 귓바퀴 털 얼굴 섬광 그리고 눈과 알이, 원, 삼각형, 대칭적 구조들, 반복적으로 말려들어 가는 곡선과 그 굴곡에 담겨 있는 음과 양, 피라미드와 구, 일출과 일몰의 다이어그램 같은 것들과 차이 없이 뒤섞여 있다. 유기체의 형상과 기하학적 요소들, 천체적 도상과 신체의 흔적들, 음영의 재현과 추상적인 패턴들은 구조적 서열이나 서사적 위계 없이 비선형적으로 평면 위에 펼쳐져 있다. 프레임 위의 모든 부분을 빈틈없이 기호들로 채운 그림의 표면에 아직은 어떤 형태도 떠오르지 않는다. 작가는 능숙하게 이름 있는 것들을 이름 없는 것들과 대칭으로 늘어놓거나, 살아 있는 것들을 정적인 것들의 사이에서 반복시키고, 격자로 갈라놓음으로써 어느 한 부분으로 중력이 쏠리거나 어느 한구석이 비-기호로서 가라앉지 못하게 하였다. 모든 것이 기호로서 평등하게 가능한 평면은, 아무런 패턴도 찾아지지 않는 완전한 소음의 장과 마찬가지로, 인지를 위한 차이를 드러내지 않는다(외부가 부재하는 전체는 내부가 부재하는 전체와 같다). 기호와 비-기호의 경계 없는 상태는 선험적 의미 구조를 투사함으로써 외부 세계를 의미화하는 의식으로는 매개되지 않는다.

전시장의 가운데에는 이끼가 깔린 방이 있다(에코 다이나믹스). 이끼 위에는 동물의 뼈, 구워진 광물, 박제된 새, 유리 철 레진과 같은 물질들이 회화 속 소음을 입체의 형태로 재현한다. 여기서도 형태가 있는 것과 형태가 없는 것 사이의 경계는 모호하다. 화살촉과 벌집처럼 사람이 만든 형태와 자연이 만든 형태가 계통의 구분 없이 뒤섞여 토템을 쌓는다. 시선은 내부와 외부, 그리고 미시와 거시의 세계를 오고간다. 외부 세계를 절대적으로 매개하는 인간 척도는 이곳에서 유효하지 않다. 견고하게 고정된 기준으로서 타자를 통찰하던 인간 시선은 이곳에선 투명한 매체로서의 권위를 갖지 못한다. 작가는 영상, 회화와 설치를 담아내는 분열적인 시선을 통해 인간 중심적 틀을 넘어서는 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Seawoo Chung, Curator at Seoul Museum of Art

Imagining the Borders While Dancing outside the Stage 

Take one step forward and another step backward. Empty the stage and dance outside of it. Reflect on memories, write down the words from the conversation, and erase them. Repeating to write and erase the conversation is like wandering around the ambiguous border between the center and its surroundings, without moving towards the center. Make a circle to draw the line and repeat the action. Eventually, they form a cluster blurring the borde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s I’m pulling the beads, clarity becomes unclear, and I slowly move away from the center of my consciousness. Outside the stage, I imagine the border between the dance and choreography.

Junghun Kim attempts to reach geological meditation as a way of displaying emotional and spiritual experience into his artworks of sound, smell, and vis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forms of meditation, I choose to reference from the method of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as pulling the rosaries. I practice writing, a form of visual art, as an attempt to practice geographical mediation as well. Trying to visualize the exhibition that wasn't put together yet, I repeated the process of writing, reciting, and erasing the numerous words from the conversation I had with the artist. By continuously repeating this process, I was able to put my consciousness on the blurry border and maintain the precarious state of contact, instead of envisioning the specific form of his artworks and exhibition. Maintaining the contact allows me to continuously release my consciousness into circulating connections and networks so that I don't concentrate on a specific point or provide clarity for my consciousness. Eventually, only the state of meditation remains as the act of envisioning repeats without any conceivable forms.

As you walk into Kim’s exhibition, your senses are awakened by the echo of the ringing bell. As if he is carefully stepping forward on stage, or as if he is pulling the rosary, Kim assembles his paintings, installations, and videos into a unified experience and creates a meditative rhythm. The colors from his paintings are humble and plain like nature, such as soil, moss, and sand. Meanwhile, the organic forms from his paintings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m to coexist, instead of fighting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When you walk into the other room following the echo of the ringing bell, the organic and symbolic forms from the surfaces of his paintings are poured into the exhibition space, a territory of consciousness. For his installation works, Kim fabricated complex materials such as terra cotta and glass and turned them into the forms and textures similar to the old and substantial incense burners or ceramics. Also, he attached some chunks to thin and elongated spines and composed fragile and organic forms which harmonize in space as a scene.

The exhibition space of SeMA Storage already embodies the texture of time. Although some walls were added to the original architecture to resemble a conventional white cube, the depiction of time remains in partially exposed brick walls and the structures of its ceiling. When his installations and the spacial texture of SeMA Storage meet, a time scale is established and the organic forms of his imagination can be materialized into the fragile sculptures as a result of his tactile practice. However, is it possible to bring the imagination into reality without directly representing something? Junghun Kim’s works seem to be bounded in symbolic images. However, he tends to think outside the conventional symbols and makes an eort to resist the convenience of digital technologies. Instead, he materializes his meditational state coming from his inner self, and that eort was accomplished in his exhibition experience.

Junghun Kim visualizes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ity, and their harmony,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this technological era. His working process is dierent from the current tendency of the contemporary art scene in which people tend to work with already curated references or images. A Korean painter O Yoon tried to advocate the role of art and artist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dancing and he spread his artistic imagination as an act against passive and mechanical perspectives.However, Kim avoids defining the attitude of "dancing." Instead, he observes and pred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the dance and everything else that constitutes them. By doing so, he understands a bigger context and the causality between things, hence he is not an artist who merely dances on the stage. He continuously redefines and erases the border between the stage and reality, making an eort to reach a multi-dimensional state of meditatio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our perspectives and cognitive abilities are dramatically broadened. However, psychological and private imaginations are underestimated in this era. Using technology, we can extend our physical abilities and senses, which means we can immediately recognize and save the given information. However, such technical dependency often means that we neglect to fill and harden our inner selves. Instead of displaying his imagination directly as it is, Junghun Kim pats around it as an attempt to anticipate its form. In other words, he tries to visualize the ambiguous border between the stage and its surroundings by patting through floating images, imposing his touch into his artworks. I hope his attempt reaches the meditative state within the scenery of dancing on the borders ─ borders between the stage and its surroundings, borders between the dance and choreography.

무대 주변에서 춤추며 경계를 상상하기

정시우,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

한 걸음 나아가고, 다시 한 걸음 물러선다. 무대를 비우고 주변에서 춤을 춘다. 단어 하나, 한 문장, 대화를 통해 주고받은 말들을 기억에 의존해 글로 옮기고 다시 문장, 단어를 지운다. 대화를 복기하고 그것을 지우는 일은 중심을 향하지 않고 중심과 주변의 모호해진 경계를 맴도는 일이다. 원을 그리고 경계를 나누고, 반복하는 행위에 뒤섞인 선은 하나의 무리를 이루고 안과 밖의 경계가 흐려진다. 구슬 한 알, 매듭 하나를 짚어 나갈수록 선명했던 형상은 희미해지고 서서히 의식의 중심에서 밀려난다. 나는 무대 주변에서 춤추기와 안무 사이 그 경계를 상상한다.

김정헌은 청각, 후각, 시각 매체를 활용해 상상에서 발현한 정서적, 정신적 경험을 확장하는 지리학적 명상을 시도한다. 명상에는 여러 형식이 있지만 나는 구슬이나 매듭을 하나씩 넘겨가며 불경 혹은 기도문을 낭송하는 명상 형식을 시각예술, 그리고 글을 쓰는 행위에 대입해 지리학적 명상을 시도했다. 아직 열리지 않은 전시를 상상하기 위해 작가와의 대화에서 나온 수많은 단어와 문장을 글로 쓰고, 읽고, 지우기를 반복하고 이를 통해 전시나 작업의 형상을 명확하게 떠올리기보다는 모호해진 경계에 의식을 위치하고 위태롭게 접속 상태를 유지했다. 접속을 유지하는 것은 순환하는 통로, 네트워크에 끊임없이 의식을 흘려보내 한 지점에 집중하거나 명료한 상태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결국, 형상을 떠올리려 애쓰지만 반복되는 행위만 남은 명상적 상태가 유지된다.

전시장에 들어서자 깊은 곳에서 재생되는 타종의 울림이 감각을 깨우고 평면회화, 공간 설치, 영상 등 다매체로 구현된 작업을 하나의 경험으로 엮어 한 걸음, 한 알 구슬을 넘기 듯 명상적 리듬을 유도한다. 김정헌의 회화에서 색채는 흙이나 이끼, 모래 등 자연에서 나온 듯 담담하고, 형태는 유기적인데 각각의 균형을 유지할 뿐 어느 것도 중심을 차지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힘을 들이지 않는다. 작업에 보이는 유기적 형상은 도상적인데 타종의 울림을 따라 전시장을 이동하면 캔버스 표면에 가득 채워진 상징 기호들이 공간, 인식의 영역으로 쏟아져 나온다. 공간 설치작업은 테라코타, 유리같이 다루기 힘들고 깨지기 쉬운 재료를 사용했는데 오래된 향로나 도자기 같은 절제된 형태와 질감을 가진다. 가늘고 길게 뻗은 중심축에 덩어리를 붙인 유기적 형태는 위태롭지만 공간에서 하나의 장면으로 자연스럽게 균형을 이룬다.

전시공간인 세마창고는 그 자체로 시간의 질감을 가진 공간이다. 기존 건물의 원형에 벽을 덧대 화이트큐브의 형식을 따르지만 상단에 노출된 붉은 벽돌과 천장의 구조는 시간을 간직하고 있다. 전시장에 놓인 입체 작업과 공간의 질감이 만나 미묘한 시간 축을 형성하고, 상상의 영역에 위치했던 유기적 형상이 촉각적 수행을 통해 덩어리, 물성을 획득해 위태로운 조형으로 구현되었다. 재현이 아닌 상상의 영역을 현실에 호출하는 것은 수행성을 담보하는가? 김정헌의 작업은 모든 것을 도상적 이미지로 수렴하는 듯하지만 현대 기술, 디지털 환경이 주는 편리함이나 외부에서 가지고 온 정의나 개념과 거리를 두고, 내부 진동을 통해 명상적 상태를 구현하고자 노력한다. 나는 이러한 작가의 노력이 전시 경험 안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한다.

김정헌은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과 미디어 중심의 사회에서 간과한 자연과 인간의 단절성 및 불균형을 생물 지리학적 상상을 통해 시각화하는데 동시대 작업의 경향인 수집된 영상과 레퍼런스, 이미지 소소를 활용하는 방식과 거리를 두고 있다. 기계적 시각을 경계하며 미술적 상상력의 확대를 주장한 작가 오윤은 춤에 빗대어 예술, 예술가의 역할을 제안했는데 김정헌은 그 춤의 태도에 있어 일정 부분 선을 긋고 무대에서 춤추는 예술가가 아닌 무대와 현실의 경계를 손으로 가늠하고 지우는 행위를 통해 명상적 상태를 제공한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시각을 외부로 확장하고 인식 불가한 지점을 인식의 영역으로 불러오게 되었다. 반면 이 과정에서 심리적이고 내밀한 것, 상상의 영역은 설자리를 잃었다. 우리는 기술을 활용해 신체와 감각을 확장하고 현실 세계의 표피 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저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에의 의존은 의식을 외부로 확장할 뿐 내부를 무엇으로 채우고, 공고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요구한다. 김정헌은 촉각적 이미지, 상상된 형태를 재현하기보다는 그 주변을 더듬어 추론한다. 부유하는 동시대 이미지 사이를 손으로 더듬어 만들어내는 촉각적 세계관을 회화, 설치, 영상 매체를 통해 무대와 주변의 경계를 미술적 상상력으로 시각화하려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가 우리에게 무대와 무대 주변, 춤추기와 안무 사이, 저마다의 경계에서 춤추는 풍경, 명상적 상태를 제공하길 기대한다.

Using Format